여기는 또 다른 블로그

요즘에 할 이야기들이 많아져서 어딘가에는 정리할 곳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 어딘가가 블로그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웹 검색을 통해 내가 쓸만한 블로그 엔진을 찾아보았다. 3가지 종류로 나눠지는 듯 하다.

  1. 서비스형(무료 혹은 유료 플랜) :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텀블러등이 있다.
  2. 자가 설치형(클라우드 서버), : 전세계적으로는 워드프레스, 국내에서는 티스토리(추측). 최근에는 node.js 기반이 ghost도 꽤 많이 사용하는 걸로 보인다.
  3. 정적 사이트 변환기(라고 해야 하나?) 형태. 이 쪽 계통에서는 제일 유명한 게 jekyll인데 기능이 강력한 만큼 설치해야 될 것이 많아서 먼저 포기. 최근 꺼중에서는 hugo(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go언어 기반이다)도 괜찮아 보였지만 이왕이면 최근 대세인 node.js기반중에서는 hexo라는 녀석이 있다.

3번의 경우 서버 사이드 프로그램(php)이 필요 없다. 로컬 PC에서 정적 파일들(html, css 등)을 생성해서 정적 파일들을 서빙할 수 있는 서버에 올려주면 끝이다. 결국 node.js기반 정적 사이트 변환기인 hexo을 선택했고, 호스팅은 GitHub 페이지를 이용하기로 했다. 블로그 데이터 = 내가 쓴 글들을 GitHub 페이지에 올리면서 당연히 Git저장소에 버전 관리까지 되므로 사실 서버&백업이 신경 쓸 부분이 없다.
몇 년전에 구입하고 묵혀 두었던 마크다운 에디터인 ByWord를 통해서 글 쓰고 GitHub에 올리기만 하면 되니 편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마크다운 확장인 gfm도 지원하니 소스 출력용으로 딱이다.


추가 글.

오늘 회사 랩탑으로 보다가 한가지 착각한 게 있었다.
github페이지(저장소)에 올라가는 파일들은 전부 웹에 퍼블리싱되는 파일들 뿐이다.

hexo deploy(또는 그냥 d)

할 경우에 내가 작성한 마크다운 글이라던지, 설정파일들은 Github에 올라가지 않는다. 당연한 건데 순간 착각 했다. 그래서 Github에 따로 글 관리용 리파지터리를 생성해도 되고 나같이 부끄럼이 많다면 bitbucket에 private 리파지터리에 올려서 보관하면 좋다.

생각해보니 역시나 허술한 블로그였다는 생각이 든다..